본문 바로가기
생활 정보

정월대보름 귀밝이술 유래

by newideas2025 2025. 2. 12.

정월대보름의 귀밝이술(耳明酒) 전통과 의미

**귀밝이술(耳明酒)**은 정월대보름 아침에 마시는 전통 술로, 한 해 동안 나쁜 소식을 듣지 않고 좋은 소식을 많이 듣기를 기원하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.

 

 

 

1. 귀밝이술의 유래

  • 조선 시대 《동국세시기(東國歲時記)》 등의 문헌에도 등장하는 풍습으로, 귀를 밝게 하여 좋은 소식만 듣게 해준다는 속설에서 유래했습니다.
  • 주로 **맑은 술(청주나 소주)**를 따뜻하게 데워서 한 잔씩 마시는 것이 일반적이었습니다.
  • 집안 어른부터 어린아이까지 한 모금씩 마시는 것이 전통이었으며, 어린이에게는 입에 대는 정도만 허용하기도 했습니다.

정월대보름 귀밝이술의 유래

 

2. 귀밝이술의 의미

  • 좋은 소식 기원: 한 해 동안 기쁜 소식과 길운(吉運)이 가득하기를 바람.
  • 건강과 액운 방지: 술의 따뜻한 성질이 혈액순환을 돕고 감기 예방에 좋다고 여겨짐.
  • 전통적 풍습 유지: 정월대보름의 다채로운 의례 중 하나로, 농경사회에서 공동체의 안녕과 번영을 기원하는 의미가 담김.

 

3. 귀밝이술과 관련된 속설

  • "한 잔 마시면 귀가 밝아져 나쁜 소리를 듣지 않는다."
  • "귀밝이술을 마시면 여름에도 귓병이 나지 않는다."
  • "좋은 소식만 들려와 운이 좋아진다."

 

4. 귀밝이술과 현대적 변화

 

현재는 전통을 간소화하여 술 대신 **따뜻한 차(유자차, 생강차 등)**로 대체하는 경우도 있습니다.
또한 가족과 함께 가볍게 음복하는 형식으로 유지되며, 전통주를 즐기는 문화와 함께 계승되고 있습니다.

정월대보름의 귀밝이술은 단순한 음주 문화가 아니라 한 해 동안 좋은 소식을 바라는 따뜻한 염원이 담긴 풍습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.

 

가까운 친구 또는 가족들과 따뜻한 차 한잔 하며, 서로의 건강을 기원해 보는 시간을 가져보시면 어떨까요?